계속되는 독감 백신 접종후 사망자가 나오고 있어서 불안감이 많이 드는 요즘 입니다. 저희 부모님도 아직 독감 주사 안맞으셔서 이제 슬슬 맞으셔야 되는데. 무료접종 해도 될지 아니면 수입산 백신으로 유료 접종으로 하시라고 해야 될지 계속 고민 하고 있네요.
독감 주사 맞은후 사망 했다는 기사에 보면 언급되는 말이 바로 이 아나필락시스 쇼크 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아나필락시스 쇼크 증상은 무엇인지 또 대응법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나필락시스 쇼크 증상 대응법
아나필락시스 쇼크(아나필락틱 쇼크)란 특정물질에 대해 몸에서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것 으로 극소량만 접촉해도 전신에 걸쳐 증상이 발생하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이라고 합니다. 주로 즉각적인 반응이 나타나는데, 즉시 치료가 이루어지면 별다른 문제없이 회복되지만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면 치명적이라고 합니다.
보통 독감 백신은 유정란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해 생산하는 제품이 많이 때문에 질병청에서도 달걀 단백질 알레르기가 있을 경우 중증반응이 생길수 있다며 그런 경우 접종하지 않도록 안내 한다고 설명한 바가 있다고 합니다.
아나필락시 쇼크 증상으로는 과민반응 물질에 접촉한 직후부터 대부분 1시간 안에 기침, 흉통, 입과 손발에 저린 감각, 빈맥, 소양증을 동반한 발진,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어 호흡곤란, 저혈압, 의식소실 등이 나타나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주로 페니실린계열의 항생제나 해열진통제, 벌에 쏘이거나 곤충에 물렸을 경우, 백신, 그리고 달걀, 땅콩, 해산물, 과일을 포함한 음식들에 의해 일어날수 있다고 하는데요.
국내에서는 링거나 벌침에 의해 쇼크로 사망한 사례가 있다고 하고요, 서구권에서는 땅콩을 비롯한 견과류 알레르기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특히 땅콩으로 인한 쇼크는 유별나게 급성이라 급성 음식 알레르기를 설명할떄 거의 교과서 예제 수준으로 자주 언급된다고 합니다. 티비 프로그램 위기탈출 넘버원에서는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여자기 키스를 하다가 쇼크사한 사례를 소개한 적도 있다고 하네요.
그 외에도 밀, 우유, 계란 등이 항원으로 작용해서 계란 단백질이 포함된 일부 백신을 주사받지 못하는 환자들도 많다고 합니다.
진단은 주로 병력과 증상에 의해 이루어 진다고 하는데요. 가장 중요한 진단 포인트는 비교적 멀쩡했던 사람이 특정 물질에 노출된 후 급속하게 진행되는 피부, 호흡기, 심혈관, 소화기계등의 다장기 증상이 나타나는 것 이라고 합니다.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발생했을때 가장 중요한 치료는 에피네프린의 사용 이라고 하는데요. 휴대용 에피네프린이 있다면 먼저 허벅지에 자가 주사 하고 나서 바로 병원으로 가야 한다고 합니다. 증상 완화를 위해 이외에도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혈압 상승제를 투여하기도 한다고 하네요.
자, 여기까지 아나필락시스 쇼크 증상 대응법 알아봤습니다. 아나필락시스는 즉각적인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는 질환으로 바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면 별다른 부작용 없이 회복이 가능하지만, 치료가 지연되면 의식을 잃거나 사망하는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수 있다고 하니 주의를 기울여야 할거 같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참고용으로만 읽어보시고 정확한 내용은 의사랑 상담을 하셔야할것입니다.
자료출처 : 서울아산병원정보, 나무위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d 부족증상 코로나 위험 up! (0) | 2020.10.29 |
---|---|
한파주의보 발령기준 한파경보 차이점 (0) | 2020.10.23 |
한글날 공휴일 유래 역사 (3) | 2020.10.09 |
한로 추어탕 먹는 이유 (0) | 2020.10.08 |
2020년 코로나 추석 인사말 모음 (0) | 2020.09.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