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4

8월 처서 (處暑) 인사말 이미지 전송 24절기의 하나인 처서(處暑)를 낱말 그대로 풀이하면 더위를 처분한다 는 뜻 입니다. 양력으로는 8월22~23일경 음력으로는 7월에 해당하고 여름이 지나 더위가 한풀 꺽이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 하게 된다는 의미 입니다. 이 시기부터 여름 더위가 수그러지기 시작한다고 알려져있고, 이때가 지나면 마법처럼 날씨가 선선해 진다고 하여 '처서매직' 이라는 신조어도 있을 정도 입니다. 실제로 대한민국에서도 대서랑 입추 전후로만 하더라도 더위의 절정이었지만 이떄에 접어들면 폭염과 열대야가 사라지고, 푹푹 찌는 더위의 주 원흉인 습도가 서서히 가라앉으며, 매미소리도 자취를 감추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여름 내내 계속되던 우중충한 먹구름이 걷히면서 맑은 날씨가 다시 찾아옵니다. 입추 날짜 날씨 점치는 이유 입추 날짜 날씨.. 2023. 8. 22.
대상포진 원인, 증상, 치료, 예방법, 좋은 음식 알아보기 대상포진 원인, 증상, 치료, 예방법, 좋은 음식 알아보기 대상포진(herpes zoster)은 수두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로 인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일차 감염 시에 수두를 일으키고, 그 이후에는 사후성 감염으로 대상포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것의 원인, 증상, 치료, 예방법 그리고 좋은 음식에 대해 같이 알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인 주로 수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일차 감염 시에는 수두를 일으키지만, 일부 바이러스는 신경절로 이동하여 잠복 상태에 들어갑니다. 몇 년이나 몇십 년 후에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면 대상포진이 발생합니다. 재활성화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면역력 저하, 스트레스, 노화 등이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습.. 2023. 6. 21.
대서 (大暑) 폭염 절정 대처방법 대서 (大暑) 폭염 절정 대처방법 오늘(7월22일)은 더위의 최고 절정 이라고 할수 있는 대서 (大暑) 입니다. 24절기중 12번째에 해당하는 날로 태양의 황경이 120도가 될때, 그리고 '소서' 와 '입추'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양력으로는 7월22~23일 경, 음력으로는 6월에 해당합니다. "큰 더위" 라는 이름답게 장마가 빨리 끝나고 땡볕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로 '대서(大暑) 에는 염소 뿔이 녹는다.' 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 입니다. 어제가 바로 '중복' 이었죠? 이때는 중복 무렵일 경우가 많이 때문에 삼복더위를 피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계곡이나 산정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었으며 때때로 이 무렵 장마전선이 늦게까지 한반도에 동서로 걸쳐 있으면 큰 비가 내리며 불볕 찜통 더위도 이때 겪게 됩.. 2023. 6. 21.
춘분(春分) 날짜 나이떡 먹는 이유 춘분(春分) 날짜 나이떡 먹는 이유 2022년 올해 춘분(春分) 날짜는 언제 일까요? 24절기의 네 번째 절기이며, 경칩(驚蟄)과 청명(淸明)의 중간에 드는 절기로 날짜는 양력 3월 21일 전후, 음력 2월 무렵에 듭니다. 한식날 찬 음식을 먹는 이유 한식날 찬 음식을 먹는 이유 한식은 양력으로 보통 4월5~6일 경으로 청명절 이나 식목일과 겹치곤 합니다. 일년중 밤이 가장 길다는 '동지' 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이 바로 한식 인데요. 이 날은 이름 두 글자를 그대로 풀어낸 hhmg.tistory.com 이날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 곧 황도(黃道)와 적도(赤道)가 교차하는 점인 춘분점(春分點)에 이르렀을 때, 태양의 중심이 적도(赤道) 위를 똑바로 비추어, 양(陽)이 정동.. 2022. 3. 15.
정월대보름 유래 오곡밥 먹는 이유 정월대보름 유래 오곡밥 먹는 이유 한 해의 첫 보름이자 보름달이 뜨는 날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우리나라의 명절로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합니다. 상원이란 중원(中元 : 음력 7월 15일, 백중날)과 하원(下元 : 음력 10월 15일)에 대칭이 되는 말로서 이것들은 다 도교적인 명칭인데요, 이날은 우리 세시풍속에서는 가장 중요한 날로 설날만큼 비중이 크다고 볼수 있습니다. 최상수(崔常壽)의 ≪한국의 세시풍속≫을 보면, 12개월 동안 세시풍속행사 총건수는 189건이라고 합니다. 그 중 정월 한 달이 세배·설빔 등 78건으로서 전체의 거의 절반이 되어, 1년의 세시풍속 중에서 정월이 차지하는 비중이 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월 78건 중에서 대보름날 하루에 관계된 세시풍속 항목은 40.. 2022. 2. 15.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뜻 정리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뜻 입춘이 되면 도시 시골 할 것 없이 각 가정에서는 기복적인 행사로 입춘축(立春祝)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입니다. 입춘축을 달리 춘축(春祝)·입춘서(立春書)·입춘방(立春榜)·춘방(春榜)이라고도 입춘축하는데요, 글씨를 쓸 줄 아는 사람은 자기가 붙이고, 글씨를 쓸 줄 모르는 사람은 남에게 부탁하여 써서 붙였습니다. 입춘이 드는 시각에 맞추어 붙이면 좋다고 하여 밤중에 붙이기도 하지만 상중(喪中)에 있는 집에서는 써 붙이지 않았습니다. 입춘축을 쓰는 종이는 글자 수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가로 15센티미터 내외, 세로 70센티미터 내외의 한지를 두 장 마련하여 쓰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외에 한지를 마름모꼴로 세워 ‘용(龍)’자와 ‘호(虎)’자를 크게 써서 대문에.. 2022.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