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은 한 해의 첫 보름 이자 보름달이 뜨는 날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우리나라의 명절 입니다.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하는데, 상원이란 중원(中元 : 음력 7월 15일, 백중날)과 하원(下元 : 음력 10월 15일)에 대칭이 되는 말로서 이것들은 다 도교적인 명칭입니다. 이날은 우리 세시풍속에서는 가장 중요한 날로 설날만큼 비중이 큽니다.
우리 나라의 세시풍속에서는 보름달이 가지는 뜻이 아주 강하였습니다. 정월대보름이 우선 그렇고, 다음의 큰 명절이라고 할 수 있는 추석도 보름날 입니다. 대보름날의 뜻을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우리 문화의 상징적인 면에서 보면, 그것은 달-여신-대지의 음성원리(陰性原理) 또는 풍요원리를 기본으로 하였던 것이라 하겠습니다.
세시풍속에서 그러한 예를 들면, 우선 동제가 그렇고, 줄다리기 같은 것들도 그 전형이 된다고 할수 있습니다.동제신(洞祭神)도 여신이 남신의 2배를 넘는 주류를 이룹니다.이렇게 첫 보름달이 뜨는 시간에 여신에게 대지의 풍요를 비는 것이 우리 동제의 주류였고 원형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경상남도 영산의 줄다리기에서는 대낮에 그러한 짓을 하는 자는 없고 해가 져야 이루어진다고 하여, 마치 이것을 성행위처럼 여기는 것이 지방 노인들의 관념이었습니다. 대보름의 뜻, 그것은 한마디로 말하여서 풍요의 원점이 된다고 할수 있습니다. 실제 농경을 위해서는 음력이 한 달씩이나 자연계절에 차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계절이 정확한 태양력적 요소인 24절기를 쓰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정월대보름에 하는일 로 농점(農點)이 있었는데요. 달집태우기·사발재점·그림자점·달불이·집불이·소밥주기·닭울음점 등이 있습니다. 한반도 북부에서는 단오가 큰 명절이기도 하였으나, 중부 이남에서는 7월 보름인 백중보다도 비중이 작았습니다. 중부 이남에서는 단오를 그렇게 큰 명절로는 여기지 않았습니다.
달집태우기도 정월대보름에 하는일 중에 하나였는데요. 요즘은 지방마다 마을단위로 달집태우기 행사를 한다고 합니다만 올해는 코로나로 인해 많은 행사가 이루어지지 않을수 있다고 합니다. 나무로 틀을 엮고 짚을 씌운 달집을 마을 동산에 세웁니다. 영주의 무섬마을 같은 곳은 냇가 모래사장에 세우기도 합니다. 형태는 지방마다 약간씩 다르나 대개 간단한 구조로 한쪽 면만을 터놓고 다른 두 면은 이엉으로 감쌉니다.
터놓은쪽을 달이 떠오르는 동쪽으로 향하게 하고 가운데 새끼줄로 달 모양을 만들어 매달고는 달이 솟아오르는 것을 처름 본 사람이 불을 댕겨 달을 향해 절을 하고는 태웁니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대나무 매듭을 태워 폭죽소리같이 툭툭 소리가 나도록 했는데 이는 잡귀와 액을 쫓기 위함이었다고 합니다.
쥐불놀이 또한 정월대보름에 하는일 중에 하나입니다. 이날은 마을마다 청소년들이 자기네 마을 부근에 있는 밭두렁이나 논두렁에다 짚을 놓고 해가 지면 일제히 불을 놓아 잡초를 태웠습니다. 이 쥐불의 크고 작음에 따라 그해의 풍흉, 또는 그 마을의 길흉을 점치기도 했다고 합니다.
불의 기세가 크면 좋다 하여 각 마을이 서로 다투어 가며 불기세를 크게 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마을 사람과 마주서게 되면 쥐불로 인해 가끔 다툼이 일어나는 일도 있으며 자정이 되면 사람들은 다 자기 마을로 돌아가는데 들에 놓은 불은 끄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날 들판에 불을 놓는 이유는 쥐의 피해가 심하므로 쥐를 박멸하기 위함과 논밭의 해충을 제거하고 또 새싹을 왕성하게 하기 위함이였다고 합니다.
전라남도에서는 열나흗날 저녁부터 보름날이 밝아야 운수가 좋다고 하여 집안이 환해지도록 불을 켜놓으려고 하며, 배를 가진 사람은 배에도 불을 켜놓았습니다. 경기도에서도 열나흗날 밤 제야(除夜)와 같이 밤을 새우는 풍속이 있고, 잠을 자면 눈썹이 센다고 해서 잠 안자기 내기를 하는 곳이 있었다고 합니다. 충청북도에서도 열나흗날 밤 ‘보름새기’를 하는 곳도 있습니다.
요컨대, 대보름날의 모든 관습들은 달을 표준으로 하던 신년이라는 고대생활의 유습이 계속 강하게 전승되어왔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볼수 있는데요. 이웃 나라들과 비교해보면 상원은 중국에서도 한나라 때부터 8대축일(八大祝日)의 하나로 중요하게 여겼던 명절이었습니다.
'부럼깨기' 또한 정월대보름에 하는일 중에 하나로서 이날 이른 아침에 한 해 동안의 각종 부스럼을 예방하고 이 를 튼튼하게 하려는 뜻으로 날밤, 호두, 은행, 잣등 견과류를 어금니로 깨무는 풍속 입니다. '부스럼'(또는 '부럼') 깨물기 라고도 하고 '부럼먹는다' 라는 말도 있다고 합니다.
부럼의 정확한 유래를 알기는 어려우나 다만 조선 후기에 나온 여러 세시기류나 죽지사류 기록에 그 사례가 확인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오랜기간동안 광범위하게 전승되어온 민속임을 짐작할수 있다고 합니다.
정월대보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게 오곡밥 일텐데요. 오곡밥이란 다섯 가지 곡식 즉 쌀, 조, 수수, 팥, 콩 등을 섞어 지은 밥으로 이날의 오곡밥은 풍농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어 농사밥 이라고도 하며 대보름 즈음에 먹는다 하여 보름밥 이라고도 한다고 합니다.
오곡밥은 여러가지 곡식을 섞어 지은 일종의 잡곡밥이며, 곡식의 종류는 가정 및 지역마다 다르다고 합니다. 여러가지 곡식을 넣어 지어 먹는다는 뜻에서 곡식의 총칭인 '오곡' 이라는 말을 쓰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오곡의 풍요를 기원하는데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자 여기까지 정월대보름에 하는일과 유래 풍습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들 맛있는 오곡밥과 부럼깨기로 한해 동안의 액운을 예방 하시면 좋겠습니다 :)
자료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저질환 뜻과 종류 싹 정리 (0) | 2021.03.06 |
---|---|
경칩 뜻 과 날짜 (0) | 2021.03.04 |
우수 뜻과 유래 (0) | 2021.02.18 |
입춘 날짜 유래 (1) | 2021.02.03 |
미국 대선 방식 궁금증 확인 (0) | 2020.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