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동지 날짜 뜻 팥죽 먹는 날
동지(冬至)는 24절기 중 22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한 해에서는 맨 마지막에 오는 절기이다. 음력 11월을 동짓달이라고 할 만큼 널리 일반화된 세시풍속이다. 양력 12월 21~22일경으로 2023년 동지 날짜는 12월22일 금요일이다. 북반구에서 1년 중 밤이 가장 긴(반대로 낮은 가장 짧은)날이며 황도 12궁에서 염소자리의 시작일이다.
동지 인사말 이미지
동지 인사말 이미지 팥죽을 먹는날로 알고 있는 동지는 24절기중 스물두번째 절기로서 태양의 황경이 270도가 되는 때 이다. 양력으로는 12월21일 또는 22일이며 음력에서는 동지가 드는 달을 11월(
hhmg.tistory.com
크리스마스와 겹치는 시기인데, 실제로 크리스마스의 전통의 배경이 서양의 동지 축제(Yuletide)에서 시작되었다. 낮이 점점 짧아지는 것을 태양이 죽어가는 것으로 보고, 이날은 기점으로 낮이 길어지는 것을 태양이 되살아나는 것으로 생각하여 태양신을 기리던 이교적 축제가 있었는데, 이것이 그리스도교의 보급 이후 '태양신을 기릴 수는 없으니, 대신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을 이 날에 기념하자.'는 의도로 교체하여 성탄 전통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 크리스마스 트리와 뷔슈 드 노엘도 기독교와 상관없는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의 잔재란 이야기가 있다.
참고로 낮이 가장 짧은 날인 건 맞지만, 해가 가장 늦게 뜨는 날도, 가장 일찍 지는 날도 아니다. 낮이 가장 짧은 날이라 동지에 일출이 가장 늦고 일몰이 가장 이르다는 오해를 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로는 서울 기준으로 일출시각은 1월 초순이 동지보다 늦고 일몰시각은 12월 초순이 동지보다 이른데, 이는 일출몰 시각에 지구 공전궤도 뿐만 아니라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와 위도 모두 작용하는 균시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일출시각이 가장 늦고 일몰시각이 가장 이른 날은 아니지만, 일출시각의 변화와 일몰시각의 변화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날이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은 맞다. 마찬가지로 하지 또한 낮이 가장 긴 날일 뿐, 해가 가장 일찍 뜨는 날도, 가장 늦게 지는 날도 아니다.
옛 사람들은 이 날을 '일양(一陽)이 생(生)하도다'라고 하여 경사스러운 날로 여겼다. 조선시대의 많은 풍속이 사라진 현대의 대한민국에서도 동짓날에는 팥죽을 챙겨먹는 사람이 제법 있을 정도로 인지도가 매우 높은 절기이기도 하다. 물론, 중국에서도 당연히 동짓날에는 팥죽을 먹는다.
팥죽 먹는 날 유래
전통적으로 이 날에는 팥죽을 쑤어 먹거나 소똥과 팥죽을 대문과 마당에 뿌리는데, 악귀와 액운을 내쫓는 뜻으로 중국에서 비롯한 것이다.
6세기 중후반에 씐 중국 고서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중국에 공공(共工) 씨가 재주 없는 아들을 두었는데 그 아들이 동지날에 죽어서 역귀가 되었다. 그런데 그 아이가 살아 있을 때, 팥을 두려워했으므로 동지날에 팥죽을 쑤어 물리친 일을 따른다는 것이다.
그러나 동지에 해당하는 날이 음력으로 11월 1~9일 경우에는 애동지라 하여 어린 아이들은 팥죽을 먹지 않는 대신 팥을 넣은 떡을 먹고, 11월 10일 이후일 때는 어른동지라 하여 팥죽을 먹는다.
팥죽은 시절식(時節食)의 하나이면서 신앙적인 뜻을 지니고 있다. 즉, 팥죽에는 축귀(逐鬼)주3하는 기능이 있다고 보았으니, 집안의 여러 곳에 놓는 것은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한 것이고,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 있다.
팥은 색이 붉어 양색(陽色)이므로 음귀(陰鬼)를 쫓는 데에 효과가 있다고 믿었으며 민속적으로 널리 활용되었다. 전염병이 유행할 때에 우물에 팥을 넣으면 물이 맑아지고 질병이 없어진다고 하며 사람이 죽으면 팥죽을 쑤어 상가에 보내는 관습이 있는데 이는 상가에서 악귀를 쫓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뿌리는 것 역시 악귀를 쫓는 축귀 주술행위의 일종이다.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나 재앙이 있을 때에도 팥죽 · 팥떡 · 팥밥을 하는 것은 모두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동지 날짜 뜻과 팥죽 먹는 날 유래 정보 같이 나눠 봤습니다. 날이 많이 춥습니다. 따뜻하고 건강한 겨울 보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법정 공휴일 황금연휴는 언제 (1) | 2024.02.08 |
---|---|
새해 인사말 카톡 단톡방 문자 모음 (0) | 2023.12.23 |
8월 처서 (處暑) 인사말 이미지 전송 (1) | 2023.08.22 |
대서 (大暑) 폭염 절정 대처방법 (0) | 2023.06.21 |
춘분(春分) 날짜 나이떡 먹는 이유 (0) | 2022.03.15 |
댓글